5. 와이엠씨, 덕양산업, 유니온머티리얼, 웰킵스하이텍
한온시스템,
삼성SDI의 더블유씨피, NHN, 신신제약 대웅제약, 삼바, LG화학,
車수출 덕분에 선방…무역수지 두달째 흑자
한국의 무역수지가 두 달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기나긴 무역적자를 유발한 에너지 수입이 국제유가 하락으로 크게 줄어든 데다 반도체 업황 침체와 대중(對中) 수출 부진에도 자동차가 호조세를 보이며 수출을 견인한 덕분이다.
게다가 반도체 산업이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연말로 갈수록 무역흑자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중국에 뺏긴 ESS 1등···가성비-안전성으로 재탈환 노린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전기차 못지 않게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대세가 된 가성비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강화하거나 안전성을 제고해 고용량 수주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전략은 ‘가성비’로 요약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은 ESS시장을 선도하다 중국 기업에 밀려 점유율이 4위로 추락했다”며 “전기차용 배터리와 다른 시장 특성을 감안해 LFP 배터리를 중점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다”고 했다.
버리기도 힘든 폐식용유, 돈주고 수입…금맥 발견한 이 회사, 무슨 일
LG화학이 폐식용유를 활용해 바이오 디젤 원료를 만들어 항공유로 납품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올해 안에 해외 다국적 기업과 계약을 맺어 폐식용유를 공급받기로 했다.
LG화학은 이미 3대 신성장 동력으로 2차전지 소재, 신약과 함께 친환경 소재 사업을 내세운 상태다. 이 가운데 친환경 소재 사업 핵심에 폐식용유가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LG화학, 영아용 6가 혼합백신 임상 착수
혼합백신 국산화로 안정적 접종 환경 조성LG화학이 영아용 혼합백신의 국산화를 위한 첫 발을 뗐다.
삼바에피스, 美바이오젠 영업망 인수 추진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미국 제약사인 바이오젠의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적 제제의 복제약) 사업부 인수를 추진한다.
삼바에피스, 휴미라 시밀러 상호교환성 임상 1차 지표충족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인 ‘SB5’(미국 제품명 하드리마)의 상호교환성 임상 결과 1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고 2일 밝혔다.
랩지노믹스, 美 진단시장 진출
플라즈맵 "임플란트 불순물 제거기로 해외 공략"
플라즈맵은 액티링크 출시 첫해인 지난해에만 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체 매출 133억원의 37%였다. 올해 액티링크 매출은 60억원으로 잡고 있다. 미국 유럽 중국 등에 액티링크를 수출하고 있다.
플라즈맵은 미국에서 액티링크의 신기술의료기기 인증(De Novo)을 추진하고 있다. 임 대표는 “신기술의료기기 인증을 받으면 표면처리기 중 세계 첫 사례가 된다”며 “의료진의 신뢰도가 더욱 높아져 글로벌 시장 1위 미국 판매량이 두드러지게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대웅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필리핀 출시
출시 1년만에 첫 해외 진출대웅제약은 필리핀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를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신신제약 “불면증 패치 개량신약 국내 1상 연내 개시”
신신제약은 ‘멜라토닌을 함유하는 수면유도 패치 개발' 국책과제를 이달 중으로 마치고 ‘SS-262’의 국내 임상 1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SS-262는 불면증 치료를 위한 개량신약 후보물질이다.
신신제약은 2021년 서울산업진흥원의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국책과제에 선정됐다. 이 국책과제는 오는 31일까지 SS-262의 전임상 시험을 마치고 임상 1상을 신청하는 것이 목표다.
삼성SDI 5조 규모 분리막 확보!!
국내 배터리 분리막 제조사 더블유씨피가 삼성SDI에 40억㎡ 규모의 배터리 분리막을 공급하기로 했다.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5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립 10주년 맞은 NHN "글로벌 톱기업 향해뛸 것"
NHN이 1일 창립 10주년을 맞아 신규 브랜드 슬로건 'Weaving New Play(위빙 뉴 플레이)'를 공개하고 그룹 비전인 '글로벌 톱티어 테크 기업' 달성을 위한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한온시스템, 테네시주에 신규 공장…美전기차 시장 공략 '속도'
세계 2위 자동차 공조시스템 업체인 한온시스템이 미국 테네시주 라우던에 신규 공장을 짓는다. 북미 전기차 부품 시장 공략을 위해서다. 완공되면 회사의 미국 내 네 번째 공장이 된다.
한온시스템은 2일 "테네시주 라우던에 신규 생산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투자 금액은 1억7000만달러(약 2194억원)다. 이를 통해 6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한온시스템은 라우던 공장을 통해 북미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 현대자동차와 기아, 포드 등 주요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에 열관리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공조(HVAC), 파워트레인 쿨링, 컴프레서, 유압제어 시스템 등 자동차 열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 엔비디아에 'HBM 패키징' 공급한다
한미반도체, AI 반도체 핵심 장비 전용 ‘본더팩토리’ 오픈
반도체 장비사 한미반도체가 인공지능(AI) 반도체용 광대역메모리(HBM) 생산 필수 공정 장비인 ‘듀얼 TC본더(DUAL TC BONDER)’ 생산 여력(캐파) 증설을 위해 ‘본더팩토리(Bonder Factory)’를 오픈했다고 2일 밝혔다.
간신히 반도체 살아나려는데…찬물 끼얹는 중국, 파장 어디까지
정부 “韓 즉각적 타격 크지 않아” 중국 통제 대상 확대 가능성 주의 선제적 공급망 대책 필요중국이 1일부터 갈륨·게르마늄에 대한 수출통제를 시작했다.
STX중공업 품은 HD한국조선해양, 선박 엔진 시장점유율 더 높일까
HD현대·한화, 선박·엔진 수직계열화… 친환경 선박 대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선박부터 엔진까지 수직계열화에 나서며 친환경 선박 발주 대응력을 키우고 있다.
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과 파인트리파트너스는 STX중공업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HD한국조선해양은 파인트리파트너스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652만 4174주 및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된 신주 536만 4670주 인수를 통해 STX중공업 지분 35%를 확보한다. 거래 총액은 약 813억원이다.
한화그룹도 지난 2월 HSD엔진을 인수했다. HSD엔진은 선박용 엔진시장 세계 최대 생산업체 중 하나로 친환경 기자재 및 발전설비 생산도 가능한 기술과 제조 역량을 갖고 있다. 한화그룹은 수소 혼소 가스터빈 등 친환경 발전 기술에 HSD엔진의 제조능력을 더해 이중연료 엔진 생산 등 국제적 탈탄소화 규제에 대응할 방침이다.
조선사들은 수직계열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공정 효율화를 통해 생산능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엔진은 선박 건조 원가의 10~15%를 차지하는 핵심 기관이다. 선박 유지보수 역량도 강화할 수 있어 글로벌 조선 시장의 변동성 위험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현대건설, 사우디 네옴시티 전력공급 송전선로 공사 수주
현대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생산거점부터 신도시 네옴을 잇는 송전선로 신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사업 규모는 1850억원(1억4500만달러)이다.
현대건설은 사우디 중부전력청이 발주한 ‘사우디 네옴~얀부 525킬로볼트(㎸) 초고압직류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계약을 체결한 송전선로 프로젝트는 사우디 서부 해안의 전력 생산거점인 얀부 지역에서 네옴 신도시까지 총 605㎞ 구간에 전력망을 확충하는 사업이다.
[단독] 세상 바꿀 초거대AI 네이버 로봇에 탑재
'토종' 업스테이지 AI 모델…"챗GPT보다 우수"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개방형(오픈소스) AI 거대언어모델(LLM)이 성능에서 오픈AI의 AI 챗봇 ‘챗GPT’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업스테이지는 자사가 만든 최신 AI 모델이 글로벌 AI 플랫폼 허깅페이스의 LLM 성능 순위에서 평가 점수 평균 72.3점을 받아 1위에 올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같은 방식으로 평가한 챗GPT의 GPT-3.5 버전 성능(71.9)을 뛰어넘는 성과다. 허깅페이스는 세계 AI 기업과 관련 연구기관이 개발한 AI 모델의 성과를 공유하고 성능을 비교하는 웹사이트다. 지금까지 세계 500여 개의 개방형 AI 모델이 이 사이트에서 검증받았다.
23/08/04 주요 뉴스 헤드라인 정리 : 네이버 많이 오를 듯. (0) | 2023.08.04 |
---|---|
23/08/01 주요 뉴스 정리 : 조선, 정유, 유가, 배터리 (0) | 2023.08.01 |
23/07/31 주요 뉴스 메모 : SMR 조선과 전선업계 (0) | 2023.07.31 |
23/07/26 주요 뉴스 정리 (0) | 2023.07.26 |
23/07/25 주요 뉴스 정리 : 에이트원 중동, 고려아연 2차전지 신재생 소재, 삼성 SDI, 리튬배터리, 대상 알룰로스 (0) | 2023.07.25 |